고1부터 고3까지, 세특은 이렇게 달라져야 한다
고1부터 고3까지 세특, 단순한 교사 평가를 넘어 '입시 설계도'가 되다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(이하 세특)은 학생의 수업 태도, 사고력, 탐구활동을 교사가 기록하는 항목으로, 2025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된 이후 가장 주목받는 평가 요소가 되었다. 대학은 이제 자기소개서 없이도 학생을 이해해야 하며, 그 핵심 근거가 바로 세특이다. 세특은 단순한 수업 참여 기록이 아니라, 학생의 진로, 전공 적합성, 성실성과 성장 가능성까지 모두 보여주는 입시 자료로 작용한다.많은 학생과 학부모가 "세특은 교사가 쓰는 거니까 어떻게 할 수 없다"고 생각하지만, 이는 사실이 아니다. 세특은 교사의 기록이지만, 그 내용을 이끌어내는 것은 학생의 행동과 전략이다. 그리고 그 전략은 학년에 따라 분명히 달..
2025. 6. 30.
학생부 비교과 항목 완전정리 – 독서, 동아리, 봉사 어떻게 써야 할까
학생부 비교과,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2025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완전히 폐지되면서, 학생부의 ‘기록’이 곧 학생의 ‘입시 스토리’가 되었다. 특히 교과 외 활동, 즉 비교과 항목은 학생의 인성과 진로역량, 전공적합성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평가 자료로 자리 잡고 있다. 과거에는 수상실적이나 독서활동 같은 비교과 기록이 부차적인 요소로 여겨졌지만, 이제는 대학 입학사정관이 학생을 이해하는 데 있어 비교과 항목이 중요한 단서이자 판단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.학생부 비교과에는 대표적으로 ▲독서활동, ▲동아리활동, ▲자율활동, ▲진로활동, ▲봉사활동 등이 포함된다. 이 중에서도 **실제 입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, 학생들이 많이 실수하는 세 가지 영역인 ‘독서’, ‘동아리’, ‘봉사’**에 대해 집..
2025. 6. 29.
세특이 자기소개서를 대신한다 – 세부능력특기사항 완전정복
세특, 이제는 대학 입시의 핵심이 되었다2025학년도부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자기소개서가 완전히 폐지되면서, ‘세부능력 및 특기사항(이하 세특)’이 대학 입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. 이전에는 학생이 자기소개서를 통해 자신의 진로와 성장 과정, 활동에 대해 스스로 설명할 수 있었지만, 이제는 이 모든 내용이 학생부 안에서 드러나야 한다. 특히 세특은 수업을 담당한 교사가 학생의 수업 참여 태도, 사고력, 발표력 등을 직접 관찰해 기록한 항목으로, 가장 신뢰도 높은 정성평가 자료로 여겨진다.대학은 더 이상 자기소개서나 면접에만 의존하지 않고, 생활기록부 내의 세특 문장을 통해 학생의 전공적합성, 학업역량, 인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. 이처럼 세특은 과거 자기소개서가 담당하던 ‘자기 표현’ 기능을 대..
2025. 6. 29.